한국 선수는 내성적이지 않다. 그러나 상하관계를 너무 존중한다. 20대 선수가 30대 선수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정도가 지나치다. 축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무척 중요한데 젊은 선수는 베테랑 선수에게 말을 걸려고 하지 않는다. 책임감과 적극성이 결여된 것은 상하 관계를 너무 중시하기 때문이다. -거스 히딩크 안정된 유일한 국가란 온 국민이 법 앞에서 평등한 국가다. -아리스토텔레스 오늘의 영단어 - overstress : 지나치게 강조하다, 심한 압력을 가하다: 지나친 압력오늘의 영단어 - antarctic : 남극오늘의 영단어 - send-only cellular : 송신전용 휴대용 전화오늘의 영단어 - funding bill : 예산안오늘의 영단어 - deplore : 한탄하다, 애도하다, 유감으로 여기다서낭에 난 물건이냐 , 물건값이 너무 헐할 때 이르는 말. 진리란 오류의 반대이다. -데카르트 오늘의 영단어 - akin : 친족, 혈족의, 유사한